전체 글 4

유도 전동기 구동하기 #2

이제 유도기가 포함된 MG 세트를 구동하기 앞서, 각 Parameter들을 찾아야 한다. 해당 과정에서는 설승기 교수님의 '전기기기제어론'과 여러 논문을 참고하였다. 우선 동기기부터 진행하려 한다.  1. 고정자 저항 (Rs) 찾기 ( 고정자 저항값은 정밀 저항계를 이용해 측정하면 된다. ->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 서술 예정)  부경대 정영석 교수님의 ' 위치센서가 없는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의 파라미터 측정' 논문 중정지 상태의 모터(q축 전원인가 x)에 서로 다른 2개의 d축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 등장한다. 그럴 경우 각각 다른 d축 전류가 흐르고 있을 것이다. 이때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해당 수식을 이용하면, 고정자 저항이 나온다고 한다.  여기서 어느정도의 전압을 인가해야하는지는 좀 더 공부해야..

카테고리 없음 2025.02.10

유도 전동기 구동하기 #1

1. 케이블 결선  연구실에 쓰이지 않고 있던 유도 전동기를 구동하고 한다. 우선 전체적인 모습은 다음과 같다.   좌측의 검은색은 동기 전동기 (SPMSM) 이고 오른쪽의 동그란 것이 유도 전동기이다.   우선 하드웨어적으로 모든 준비를 완료해야 한다,   유도기를 보면, 유도기는 3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파워 커넥터 작업이 이미 완료 되어 있다.   하지만 동기기는 다음과 같이 엔코더와 파워 커넥터를 꽂는 소켓은 존재하나,이와 결선가능한 케이블과 커넥터가 없는 상황이다.   이를 구매하기 위해, 모터 명판의 품명을 통해서, 모터의 데이터 시트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다.데이터 시트를 찾다보니, 모터와 결합할 수 있는 파워 커넥터와 엔코더 커넥터를 찾았다. 이때 l자 형으로 구입한 이유는 결선의..

카테고리 없음 2025.02.07

유도전동기의 자속 추정

우선 지난 시간에 궁금한 내용을 해결했다. 처음에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을 다시 언급하자면  유도전동기는1. 초기에 회전 좌표계 상의 고정자 전류 지령을 갖고 있다.2. 이를 회전각을 이용해 3상으로 역변환 후 전류제어기에 넣는다.3. 전류제어기가 실제 전류와 오차를 계산하여 전압 지령 생성4. 인버터가 지령만큼의 전압을 생성하여 유도 전동기에 인가다음과 같은 과정을 걸치게 된다. 이때 처음에 우리가 주어진 값은 "회전 좌표계"상의 전류값이라 회전각을 알아야만 하는데회전각을 구하기 위해서는"고정 좌표계"상의 정보가 필요한 것이다.  아래에 서술할 내용에 답이 들어있었다. 1. Intro 우선 직접 벡터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자속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이때 가장 필요한 정보는 자속 각(Theta_e)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유도전동기의 벡터 제어(직접벡터제어 / 간접벡터제어)

1. Intro전동기의 구동 목적은 토크를 생성하여 자동차를 움직이거는 등 원하고자 하는 동작을 하는 것이다.따라서 출력 토크제어가 매우 중요함. 이때 평균 토크와 순시토크를 제어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음. 선풍기, 팬과 같은 정밀한 속도와 토크가 필요하지 않은 곳은 평균 토크 제어->정상상태 특징만 제어하는 스칼라 제어 하지만 자동차, 로봇과 같은 고정밀 제어가 필요한 곳은 순시 토크 제어->정상상태+과도 상태를 제어 & 전류의 크기, 위상을 제어하는 벡터 제어​토크는 자속과 전류의 cross product로 표현된다. 이는 토크는 자속과 전류 각각의 크기와 위상차를 고려해야되는 것을 의미. 보통 순시 토크 제어에서는 자속을 기준으로 전류를 제어한다.  2. DQ 변환 순시 토크를 제어하는 기법은 보통..

카테고리 없음 2024.10.29